일반생물학17 [일반생물학 3-2강] 물과 생명체, 산과 염기, 산성과 염기성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서도 생명체를 찾을 수 있을까? 많은 과학자들은 물이 존재하는 행성이라면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피력해왔다. 현재까지 몇몇 행성들은 수증기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고, 화성에서도 얼음과 수증기가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물은 어떤 역할을 하기에, 생명체가 생길 수 있는 원천이 되는 걸까? 2022.09.30 - [일반생물학] - [일반생물학 3-1강] 모든 생명에 필수적인 분자: 물 목차 산성과 염기성 물 분자들끼리 수소 원자가 이전되기도 하면서, 수소이온이 움직여 수산화이온(hydroxide ion, H-)과 하이드로늄이온(hydroniumion, H3O+, H+로 표기할 때도 있음)을 만든다. 평형 상태일 때는 이온화되지 않은 물 분자가 이 이온들보다 훨씬 많.. 2022. 10. 3. [일반생물학 3-1강] 모든 생명에 필수적인 분자: 물 생명은 바다에서 처음 탄생했다. 그 이후로 30억년간 물에서 생명체의 진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이런 물은 생명현상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마법의 물질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생명체는 물로 이루어져 있고, 물이 생존에 필수적이다. 물의 어떤 특성이 이를 특별하게 만드는 걸까? 목차 물의 화학 우리는 종종 지구를 '푸른별'이라고 부른다. 이 아름다운 푸른색 행성은 3/4가 물로 이루어져있다. 뿐만 아니라 물의 고체상태인 얼음이나, 기체상태인 수증기로 존재하기도 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물 분자가 왜 생명을 이루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지, 다른 액체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지에 대하여 다루겠다. 물 분자의 수소 결합 2-2강에서 설명했듯이, 산소는 수소보다 전기 음성이 더 .. 2022. 9. 30. [일반생물학 2-2강] 원자와 분자 - 화학 결합 지난 시간에는 원소와 원자, 그리고 원자의 구성물질인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어떻게 원자가 결합하여 분자나 이온 형태가 되는지 알아보고, 이 결합이 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 H2 원자의 결합 원자는 이전의 포스트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전자 껍질을 가지고 있는데, 껍질에 전자가 모두 채워지지 않은 원자는 껍질을 채우기 위하여 다른 원자와 전자를 공유하거나 전달함으로써 완전한 껍질의 형태를 갖고자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런 상화작용을 화학 결합이라고 하며, 서로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존재한다. 강한 결합의 종류에는 공유결합과 이온 결합, 금속결합이 있고, 약한 결합에는 수소결합과 반데르발스 힘이 있다. 공유결합 공유결합(Covalent Bonds)은.. 2022. 9. 22. [일반생물학 2-1강] 원자와 분자 생물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화학에 대한 이해는 필수불가결하다. 많은 생물들이 생명활동에 다양한 화합물들을 이용하며, 이런 화합물들은 결국 분자와 원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목차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 물질을 이루는 원소들은 화합물의 형태로 대부분 존재한다.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92개의 원소들 중 20-25%는 생명체가 건강한 생활사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모든 생물은 결국 원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여기서 말하는 원소(element)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적인 성분을 나타내는 말이며, 원자(atom)는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입자를 뜻한다. 예를 들면, 쌀이 원소이고 쌀 한 톨이 원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ex) 물은 두 원소 (산소, 수소.. 2022. 9. 2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