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지식4

심해아귀는 암컷만 있을까? 심해아귀의 생식기생으로 보는 성적 이형성 일부 심해 아귀 종류는 19세기까지만 해도 암컷만 존재한다고 알려져있었다. 그러나 최근 심해아귀는 생식기생이라는 독특한 방법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컷이 독립성을 포기하고 암컷의 일부가 되는 방법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심해아귀의 생식기생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심해 아귀란? 심해에는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미생물들과 심해어들이 살고 있다. 흔히 떠올리기 쉬운 대왕 오징어나 갈치 등 여러 생물들이 살고 있지만, 이들은 지상의 환경이나 얕은 수심과 달리 굉장히 높은 수압과 햇빛이 거의 들지 않는 환경에서 진화하여 특이한 형태의 외관을 가지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심해에 살고 있는 아귀의 종류를 심해 아귀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한 종이 아니라 다양한 종이.. 2023. 1. 3.
본능과 습관에 관하여, 현대사회의 초정상자극: 비만, SNS 중독 초정상자극이란 특정한 법칙들이 생존을 위하여 동물들에게 내재되어 있는데, 이 법칙이 과장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과연 어떤 초정상자극들이 동물들에게서 나타나며, 인간들은 어떤 초정상자극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자. 목차 현대세계의 초정상자극 비만, 비정상적성적취향, SNS 중독, 고염분, 고탄수화물 식단 등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인간에게 일어나는 초정상자극의 일종이라는 것이다. 책 에서 저자는 인류의 조상들이 생존에 필요로 했던 열량, 염분 등의 섭취와 사회적 관계, 번식 등의 본등들이 현대까지 내재되어 있고, 이런 행동들에서 초정상자극이 일어나, 많은 현대인들이 과거에는 없던 비만과 같은 새로운 질병에 노출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렇다면 과연 여기서 말하는 초정상자극(supern.. 2022. 10. 13.
세상에서 가장 큰 단세포 생물 발로니아 벤트리코사 (Valonia ventricosa) 세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00분의 1 cm (10μm) 정도로 아주 작다. 그렇다면 모든 세포가 작을까? 가장 큰 세포의 길이는 어느 정도 일까? 목차 세포들의 크기 학교에서 혹시 달걀이 가장 큰 세포라고 배웠을지도 모른다. 달걀의 크기는 약 4~6cm로, 달걀 안에 수정란이 생겼을 때는 단세포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에, 가장 큰 세포라고 배웠을 것이다. 그러나 달걀 전체가 세포라고 보기엔 병아리가 되는 배아 부분은 굉장히 작고 나머지는 영양분을 공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애매한 부분이 있다. 세포자체는 하나 이기 때문에 전체를 세포라고 볼 수도 있지만, 배아는 곧 세포분열이 일어나며 다세포 상태가 될 것이다(달걀을 하나의 세포로 본다면, 오래전 존재했던 코끼리새의 알을 가장 큰 세포로 봐야 할 것이다).. 2022. 10. 5.
2022 노벨생리의학상 수상한 스반테 페보(Svante Pääbo), 네안데르탈인의 DNA가 현생 인류에도 있다고? 2022년 현지 시각으로 10월 2일 올해의 첫 노벨상은 스반테 페보 교수님이 그 영광을 차지했다. 네안데르탈인의 뼈에서 채취한 DNA를 분석하여 현생인류와 완전히 다른 종으로 여겨지던 네안데르탈인이라는 학계의 통념을 뒤집고, 현생인류는 네안데르탈인과 종종 짝짓기를하여 유전자의 일부를 물려받았다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목차 2022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스반테 페보 교수 과학이 재밌는 점은 계속해서 새로운 사실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사실이라고 알려져 있던 것들이 때때로 바뀌기도 한다. 역대 노벨상은 주로 이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거나 발견을 한 인물들에게 수상된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스반테 페보(Svante Pääbo) 교수에게 돌아갔는데, 보통 노벨생리의학상이 의학쪽 연구에서 많이 받게..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