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생물학17

일반생물학 8_2강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 선택적 투과성은 세포막이나 생물막이 특정 분자나 이온을 통과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특정한 채널, 운반체, 수송체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세포나 생물체 내부와 외부 사이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반응이 일어나게된다. 선택적 투과성은 세포의 생존과 기능 수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생리적 작용과 질병 메커니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목차 막 구조와 선택적 투과성 세포막읜 세포와 내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데, 이 경계를 통하여 물질을 주고 받기위해서는 선택된 물질들만이 이동해아 할 것이다. 만약, 모든 분자가 쉽게 드나든다면, 바이러스나 세균을 통한 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도 있고, 필수적인 에너지가 유출될 수도 있다. 탄화수소나 이산화탄소, 산소 등의 비극성 분자들은 지질 처럼 소.. 2023. 2. 20.
일반생물학 8_1강 세포막의 구조 및 기능 세포막은 세포를 주변환경으로 부터 분리된 내부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선이다. 그러나 세포막은, 세포의 물질대사를 위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물질을 통과시켜야하는데, 이 때, 아무 물질이나 통과시키지 않고,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어떻게 세포막은 필요한 물질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지, 우선 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 세포막은 앞 포스트에서 설명했듯이, 인지질 이중층을 가지고 있다. 2022.10.25 - [일반생물학] - [일반생물학 5-1강] 생물을 이루는 거대 분자 - 탄수화물, 지질 [일반생물학 5-1강] 생물을 이루는 거대 분자 - 탄수화물, 지질 생물의 몸을 이루는 거대 분자는 몇 가지 일까? 많은 종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4.. 2023. 2. 16.
일반생물학 7_6강 세포간의 연결, 세포막, 세포벽, 세포 간 연접 세포막이나 세포벽과 같은 구조는 직관적으로 생각해봤을 때, 세포의 경계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많은 세포는 이 경계를 넘어 물질을 생산하고 방출한다. 이러한 세포외부 구조들은 다양한 필수 세포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세포 생물학을 이해하는 데 여전히 중요하다. 목차 식물세포의 세포벽 동물세포와 달리 식물세포는 세포벽(cell wall)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23.01.05 - [일반생물학] - 일반생물학_7-1강 세포란 무엇일까? 세포 개요 일반생물학_7-1강 세포란 무엇일까? 세포 개요 세포는 생명체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이며, 대중들에게도 흔히 알려져 있는 개념이다. 화학에서 원자가 있듯이, 생물학에서는 세포가 있다고도 할 수 있으며, 사람의 세포와 같은 동물세포 sangalnam.tisto.. 2023. 2. 15.
일반생물학 7_5강 세포골격(미세소관, 미세섬유, 중간섬유) 세포골격은 세포에 구조적 지지, 모양, 조직을 제공하는 단백질 섬유의 복잡한 네트워크이다. 그것은 미세관, 미세 필라멘트, 중간 필라멘트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의 단백질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세포골격이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뼈가 있는 것처럼, 각각의 세포들도 골격을 가지고 있다. 즉, 세포 소기관들이 단순히 세포 내부를 둥둥 떠다니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기존에는 이처럼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전자현미경의 발달로 세포골격(cytoskeleton)을 발견하게 되었다. 다양한 세포골격들이 내부에 존재하며, 미세소관(microtubule), 미세섬유(microfilament), 중간섬유(intermediate filament) 세 가지 종류의 세포골격이 존재한다. 세포골격은 세포의 형태를 지지하.. 2023. 2. 14.